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Grace Lee] AP Econ 문제 풀이 부분 질문입니다
Grace 선생님의 The_Real Econ_AP Microecon Final Review(총 13강 완성) 5
작성자 shi*** 등록일 2020-04-03 오후 3:34:27

안녕하십니까.


교재 18쪽 11번 문제를 해설하실 때 perfectly competitive market의 특징을 고르는 문제에서 (C)가 맞다는 것은 알겠으나 (DWL가 없기에) 다른 보기들이 왜 틀린지 잘 모르겠습니다. A와 B는 각각 price ceiling이나 price floor이 있거나 import이나 export가 있을 때 perfectly competitive market보다 더 커질 수 있어서 틀린 것인가요? 그리고 total revenue는 각각의 firm 관점에서 볼 때 perfectly competitive market보다는 monopolistic market에서 더 커질 수 있어서 틀린 것이 맞나요? 마지막으로 total external benefit은 positive externality랑 관련이 있는 것이라서 market structure이랑은 관계가 없는 것인가요? 


perfectly competitive market의 조건에서 many buyers and sellers하고 no entrance and exit barrier이 있었는데 no government regulation하고 no foreign sellers or buyers도 조건에 포함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2020-04-06 오전 1:43:58

네 안녕하세요.

 

문제를 볼게요.

 

11. A perfectly competitive market in equilibrium is allocatively efficient and it maximizes

(A) total consumer surplus

(B) total producer surplus

(C) the sum of total consumer surplus and total producer surplus

(D) total revenue

(E) total external benefits

 

이 문제를 질문한 것이 맞지요. ^^;

이 문제는 단순하게 equilibrium의 의미를 찾는 문제입니다.

어떤 market인지는 이 문제에서 중요한 것이 아닌게, 어떤 market이든 equilibrium은 S (MC) = D 에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Equilibrium, 즉 Demand와 Supply커브가 만난곳에서 거래를 하는 이유는,

 

Socially optimum, Allocative efficiency, Total suplus max 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런 equilibrium의 특징에 맞는 답을 찾으면 된답니다. 

문제를 많이 어렵게 생각한것 같아요. ^^ 단순히 equilibrium의 핵심을 찾으면 된답니다.

 

A와 B는 각각 price ceiling이나 price floor이 있거나 import이나 export가 있을 때 perfectly competitive market보다 더 커질 수 있어서 틀린 것인가요? 

->문제에서 특별히 어떤 조건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price ceiling이나 price floor이 있거나 import이나 export가 있을 때' 라는 이유를 넣어서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 Equilibrium은 consumer surplus, 또는 producer surplus각각 의 max가 아니라 total surplus (consumer surplus와 producer surplus의 합) 가 max인 곳입니다.

 

그리고 total revenue는 각각의 firm 관점에서 볼 때 perfectly competitive market보다는 monopolistic market에서 더 커질 수 있어서 틀린 것이 맞나요? 

-> Total revenue가 max 되는것과, Equilibrium과는 상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total external benefit은 positive externality랑 관련이 있는 것이라서 market structure이랑은 관계가 없는 것인가요? 

-> External benefit은 externality가 있는 상황에 생길수 있는데요, 문제에서는 externality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정답으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정답이 되겠네요 ^^. 

 

perfectly competitive market의 조건에서 many buyers and sellers하고 no entrance and exit barrier이 있었는데 no government regulation하고 no foreign sellers or buyers도 조건에 포함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perfectly competitive market은 government regulation이나 foreign sellers or buyers 는 조건에 없습니다. 실제 경제상황의 아주 특수한 상황에는 고려될수 있는 부분이겠지만, AP 범위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그럼 열공하세요!!!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