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하림 강사입니다.
ASA Congruence Postulate은 항상 주어진 것들인데, 이는 각도 두개와 끼인 변이 같으면 항상 삼각형은 합동(congruent)입니다. 여기서 파생된 것이 AAS Congruence Theorem입니다. (Postulate는 그냥 taken for granted라면, Theorem은 증명을 해야하는 대상입니다.) AAS란, 각두 두개와 끼이지 않은 변이 같은 것인데, 요건 각도 두개가 같다보니, 나머지 각도도 같아져서, 결국 ASA가 되어버립니다.
즉, AAS를 보면서, "ASA가 되겠구나"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SAS Congruence Postulate는 항상 사실입니다. Side 두개와 끼인 각이 같을 때 삼각형은 합동입니다. 다만, SSA는 그렇지 않아도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SSA Ambiguous Case라고 얘기하고, 이 부분이 SAT 2에서 나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