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표현상에서 오해의 소지가 조금은 있어보이네요. 사실 그리 좋은 문제로 보이지도 않습니다.
우선 equivalence point에서 가장 많은 개수의 이온은 Na+이기 때문이지요, HCOO-이온은 hydrolysis에 의해 HCOOH와 equilibriun을 이루기 때문에
Na+의 개수(농도)=HCOO-의 개수(농도)+HCOOH의 개수(농도)와 같습니다.
하지만 Na+는 acidity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므로 NaOH와 HCOOH의 neutralization의 equivalent point에서 acidity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HCOO-의 hydrolysis에 의한 HCOOH와 OH-의 생성입니다. HCOO- + H2O -> HCOOH + OH- 이 반응이 매우 잘 일어나는 반응은 아니지요 왜냐하면 HCOO-의 Kb={Kw/Ka)로 Kw=10^-14이고 Ka=1.8*10^-4이므로 대략적으로 10^-10에 가까울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hyrolysis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HCOOH와 OH-는 HCOO-에 비하면 매우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OH-와 HCOOH가 없는 것은 아니며 비교적으로 상대적으로 그러한 것이기 때문에 pH는 OH-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고 basic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conjugate acid와 conjugate base는 neutralization이 완결된 후 pH에 대한 영향과 관련있는 HCOO-와 HCOOH를 conjugate base와 conjugate acid로 보고 해석해야 합니다. 이 때 Kb값이 매우 작으므로 주로는 conjugate base로 있기는 하지만 OH-의 생성은 HCOO-에 비하면 적은 것이지 없는 것이 아니므로 pH는 상승하고 basic 합니다 이렇게 해석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