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Kelda Park] FRQ Laboratory 3 2003 # 5
FRQ Laboratory 3 2003 # 5 20
작성자 sea*** 등록일 2020-03-13 오전 4:26:14

안녕하세요


선생님 2003 # 5번 A 에서 물을 100ml까지 꽉 채우는 이유가 뭐죠?


또 Titration과 Dilution의 개념이 햇갈리는데 무슨 차이가 있는건가요.


감사합니다

2020-03-14 오전 2:14:39

안녕하세요 켈다샘입니다 

반갑습니다 ^^ 

 

2003 5번에서 물을 100 mL 까지 넣어야 하는 것은 문제에서 주어진 것이 

100 mL volumetric flask 이기 때문입니다. 

solution preparation, dilution 등에는 volumetric flask 를 꼭 이용해야 하는데 (mostly) 

volumetric flask 는 100 mL 에 mark 가 하나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volumetric flask 의 volume 이 100mL 짜리라면 

100mL 를 만들 수밖에 없습니다 ^^; 

 

0.10 M solution * x mL = 0.020 M (diluted) * 100mL 와 같이 문제를 풀지요 

 

여기서 이런 M1V1= M2V2 는 dilution, 말 그대로 어떤 solution 의 농도를 dilute (묽히는) 경우에 대한 공식이고 

양쪽을 계산하면 각각 moles 이기 때문에 

들어있는 moles of solute 는 동일합니다. 

 

 

titration 의 경우에 

보통 샘이 nMV = nMV 라는 계산 식을 썼어서 

비슷하다고 하는 것 같은데 

우선은 Acid base neutralization 의 경우에 equivalence point 를 찾기 위한 계산식이고 

식은 비슷해보이지만 acid, base 두가지가 나와야 하므로 dilution 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0.1 M HCl, 100mL 와 0.3 M Ca(OH)2 가 react 한다고 합시다 

여기서 H+ 의 subscript 는 1이고 

OH- 의 subscript 는 2 지요 

이것을 각각의 n 이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이 경우에 식을 세우면 

1* 0.1M*100mL = 2*0.3M*xmL 

라고 식을 세우게 되고 

이때 x 가 필요한 Ca(OH)2의 volume 이 되는 것입니다. 

 

이해 되셨기를 바랍니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