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Simon Lim] Alpha 값 용도
Acid and bases 48
작성자 jac*** 등록일 2020-02-19 오후 11:56:47

안녕하세요


선생님이 45 분 경 부터 알파값이랑 알파값을 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는데 어디다 쓰이는건가요? "넣어주는거에 대해서 쪼개진 비율"이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뭔지..


감사합니다 ;)

2020-02-20 오전 11:55:54

 

degree of ionzation(α) 는 넣어준 물질에 대해서 ionization 된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0.1M의 CH3COOH를 물에 녹였을 때 생성된 H+의 농도가 0.001M이라면

 

 

 

 

 

α=(0.001/0.1)=0.01입니다. 만약 %로 한다면 1%가 됩니다. α는 넣어준 물질(acid 또는 base)전체에 대하여 실제로 ionziation 된 비율이므로 0~1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위의 ICE에 표현되어 있듯이 Ca=0.01M이고 만약 alpha=1이라면 즉 100% ionization이라면 CH3COOH의 형태는 존재하지 않고 모두 dissociation된 형태로 존재할 것입니다. 

 

 

 

하지만 CH3COOH는 대표적인 weak acid로 물에서는 잘 ionization 되지 않습니다. HCl과 같이 물에서 100% ionization되는 acid의

 

α=1이고 CH3COOH와 같은 weak acid는 α는 거의 0에 가깝습니다.

 

 

 

5% approximation할 때 위 반응식에 적용해보면 [H+][CH3COO-]/[CH3COOH]를 [H+][CH3COO-]/0.01로 한다는 것은 결국 0,01-Caα에서 Caα는 넣어준 0.01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또 주의할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만약 동일한 종류의 acid를 비교한다면 Ka는 같은 것이므로 [H+]와 alpha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Ca값만 확인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10M의 HA(임의의 weak acid)의 alpha가 0.005라고 하면 [H+]=0.05M입니다

만댝 1M의 HA의 alpha가 0.02라고 하면 [H+]=0.02M입니다.

 

즉 alpha는 low concentration에서 높고  이것은 넣어준 물질에 대한 이온화된 비율이기 때문에 그러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H+]는 concentration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내용을 강의에서 자세하게 설명을 드렸으니 다시 확인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