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Sunny Kim] 마이크로 Ch10질문
- 0
작성자 wld*** 등록일 2019-05-20 오후 10:47:47

1.선생님 제가 갑자기 개념이 너무 헷갈리는게 있는데요ㅜㅠ

Labor mkt에서 Supply curve는 upward sloping하고 S=Wage=MFC이잖아요

그럼 이게 product mkt에서 derived된거니까 product mkt의 Demand curve도 기본꼴이 D=Price=MR이에요?


책 다시 찾아봐도 product mkt에서는 Demand curve나 Supply curve를 처음부터 Perfect competition이랑 monopoly랑 나눠서 공부했었는데

labor mkt에서는 D랑 S 기본꼴을 먼저 공부한다음에 Perfectly competitive mkt/ Imperfectly competitve mkt에 적용하니까 갑자기 헷갈려요ㅜㅠ


지금 이게 헷갈려서 cliff notes 38쪽 b에서 perfectly competitive한 상황이라고 안 주어졌는데 왜 문제를 MRP=MFC가 아니라 MRP=MFC=wage로 푸는 지 이해가 안가는것같아요ㅜㅠㅠㅠ


2. 문풀 52쪽 2-4
import를 많이 사니까 domestic product mkt의 D가 decrease해서 product price가 decrease--> MRPL decrease라고 풀면 안되나요?
Domestic production decrease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product mkt에서 S decrease--> price increase로 이어지지 않나요??


3. 문풀 54쪽 8번 (E)
저희가 보는건 다 domestic의 graph들 아닌가요? 근데 왜 foreign nurse인데 domestic labor market의 S감소가 감소하나요? foreign nurse대신 domestic nurse의 고용증가로 이어지는거 아닌가요?


4. 60쪽 2014_2 (c)(iii)
"Will the MRP of the last worker hired by Ray's Stable increase" shift표현 아닌가요ㅜㅠ? 그래서 저는 stay the same이라고 풀었는데...ㅜㅠ

2019-05-21 오후 9:00:24

1.선생님 제가 갑자기 개념이 너무 헷갈리는게 있는데요ㅜㅠ

Labor mkt에서 Supply curve는 upward sloping하고 S=Wage=MFC이잖아요

그럼 이게 product mkt에서 derived된거니까 product mkt의 Demand curve도 기본꼴이 D=Price=MR이에요?

 

--> Derived demand curve는 물건이 잘 팔려야 그 물건을 만드는 labor의 demand curve가 증가한다는 의미이고,  D=P=MR은 product market의 firm의 demand curve특징을 말해주는거야.


책 다시 찾아봐도 product mkt에서는 Demand curve나 Supply curve를 처음부터 Perfect competition이랑 monopoly랑 나눠서 공부했었는데

labor mkt에서는 D랑 S 기본꼴을 먼저 공부한다음에 Perfectly competitive mkt/ Imperfectly competitve mkt에 적용하니까 갑자기 헷갈려요ㅜㅠ


지금 이게 헷갈려서 cliff notes 38쪽 b에서 perfectly competitive한 상황이라고 안 주어졌는데 왜 문제를 MRP=MFC가 아니라 MRP=MFC=wage로 푸는 지 이해가 안가는것같아요ㅜㅠㅠㅠ

 

--> 지안아!! 침착해야해!! 질문에 넘 조급함이 보입니다ㅠㅠ perfect com.이라는 말이 주워지면 더욱 정확하게 풀수 있지만,  market structure가 주워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문제가 요구하는 것은 profit max가 되는 상황에서는 the last input이 벌어다 주는 돈 만큼 pay 하라는 거야. 그것이 MRP=MFC인데, 이문제는 암묵적으로 PC를 가정해서 price of input을 묻는 거야. 문제가 완벽하게 주워지지 않는 경우들이 많차너! 그럼 그중에서 the best one을 찾으면되

 

2. 문풀 52쪽 2-4
import를 많이 사니까 domestic product mkt의 D가 decrease해서 product price가 decrease--> MRPL decrease라고 풀면 안되나요? --> 어어! 그렇게 푸는것 맞아.
Domestic production decrease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product mkt에서 S decrease--> price increase로 이어지지 않나요?? --> 아니 demand의 감소를 내가 그렇게 표현했나보다! 위에 프로세스가 맞습니다.


3. 문풀 54쪽 8번 (E)
저희가 보는건 다 domestic의 graph들 아닌가요? 근데 왜 foreign nurse인데 domestic labor market의 S감소가 감소하나요? foreign nurse대신 domestic nurse의 고용증가로 이어지는거 아닌가요?

 

--> 외국인 간호사가 국내에 들어와서 일할때 받아야 하는 work permits 가 revoke됐다는 거자너! 그니깐 국내에서 일할 수 있는 외국인 간호사가 감소해서 국내의 간호 인력이 감소한다는것이야.


4. 60쪽 2014_2 (c)(iii)
"Will the MRP of the last worker hired by Ray's Stable increase" shift표현 아닌가요ㅜㅠ? 그래서 저는 stay the same이라고 풀었는데...ㅜㅠ

 

--> 아닙니당!! wage가 올라가면 the last worker가 벌어다 줘야하는돈도 올라가지? 그것을 물어보는 문제야.

 

Sunny~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