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첫 번째 질문
실제로 존재하는 solute의 몰수를 먼저 구하시고 solution 전체의 volume으로 나누어주면 molarity를 얻을 수 있습니다.
(E)에서 6.00mol/L H2SO4로부터 20.8mL=0.0208L을 뽑아내면 여전히 concentration은 6.00mol/L이지만 solute의 몰수(mole number)는 0.1248mol인데 round off하여 0.125mol이 됩니다. 여기에 물(solvent)만 추가적으로 부어 최종적인 부피를 1L로 맞춘것이므로 이제 1L solution안에 solute가 0.125mol이 있으므로 concentration은
0.125mol/L이 됩니다.
두 번째 질문
NaOH는 1mol당 1mol의 OH가 생성됩니다. molarity X volume=mole number이고 neutralization에서 H+ : OH- =1:1로 반응합니다.
NaOH의 mole number는 15mmol이고 OH-역시 15mmol이 됩니다.
H2SO4의 경우 H2SO4 -> 2H^+ + SO4^2-이므로 1mol당 최대 2mol의 H+가 형성되므로 필요한 H2SO4의 몰수는 7.5mmol입니다. 따라서 0.05M의 H2SO4는 150mL가 필요합니다. 즉 0.05M 150mL H2SO4에 존재하는 H2SO4는 7.5mmol이지만 H+는 이 값의 2배인 15mmol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