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Sunny Kim] ad curve leftward
1 1
Author jia*** Date Posted 2024-05-01 오후 6:42:06

시험이 얼마 안 남았는데, 이제서야 뭘 좀 알것 같기도 하고, 모르는것 투성이고 그래서 완전 머리가 터질것 같아요. 

실패하면 내년에 다시 볼거 같아서 겁나요. 

도와주세요 


1. The  in the aggregate demand curve from AD 1 to AD 2 could be caused by  (AD Leftward 그래프임)

(a) a decrease in taxes

(b) a decrease in the money supply - IR 올라가고, 그러면 AD 내려가 

(c) an increase government spending

(d) an increase in the price level à 이건 왜 안될까? 

price level 이 오르면 consumpution 줄어들고 AD 로 내려갈 것 같은데 이건 왜 안될까요?



2. Increases in the real per capita income of a country are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which of the following?

(A) The labor force

(B) The price level

(C) The money supply --> 이건 왜 안될까? money supply 증가하면 NIR 감소하고 Borrowing cost 감소 conmption증가?

(D) Productivity

(E) Tax rates


답이 D 인데 왜 이게 일인당소득과 연관되는지 (C) 는 왜 안되는지 도와주세요 


3. Monetary policy 이자율은 NIR 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럼 Fiscal policy 에서 IR 변화도 NIR 인가요? 강의에서 딱히 NIR RIR 언급안하셨던거 같아요. 돌려보고 싶어도 너무많아서 못 찾겠어요. 



2024-05-02 오후 1:56:03

시험이 얼마 안 남았는데, 이제서야 뭘 좀 알것 같기도 하고, 모르는것 투성이고 그래서 완전 머리가 터질것 같아요. 

실패하면 내년에 다시 볼거 같아서 겁나요. 

도와주세요 


 

1. The  in the aggregate demand curve from AD 1 to AD 2 could be caused by  (AD 가 Leftward 그래프임)

(a) a decrease in taxes

(b) a decrease in the money supply - IR 올라가고, 그러면 AD 내려가 

(c) an increase government spending

(d) an increase in the price level à 이건 왜 안될까? 

price level 이 오르면 consumpution 줄어들고 AD 로 내려갈 것 같은데 이건 왜 안될까요?


--> 안녕하세요! 학생분~ 잘 보실꺼에요! 마지막 정리만 잘해주세요. 이건 제 교재 몇페이지 문제일까요? 꼭!!!! 페이지수 적어주세요. Price level은 AD의 movement factor이지요? 그래서 답이 안됩니다. 문제는 Aggregate demand 이니 shift를 묻는 문제입니다. 


2. Increases in the real per capita income of a country are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which of the following?

(A) The labor force

(B) The price level

(C) The money supply --> 이건 왜 안될까? money supply 증가하면 NIR 감소하고 Borrowing cost 감소 conmption증가?

(D) Productivity

 

(E) Tax rates


답이 D 인데 왜 이게 일인당소득과 연관되는지 (C) 는 왜 안되는지 도와주세요 

 

--> 마찬가지요! 페이지수 부탁드립니다.  이곳은 제 강의 +교재와 관련된 질문을 올리는 곳임을 인지해주세요! 그래도 이번엔 볼께요.. increases in the real per capita income = standard of living을 증가를 말해주는 지표이지요? 그래서 통상적으로 경제성장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답은 d인데, c는 MS가 증가한다고 경제성장을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심지어 long run으로 지속되면 real GDP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기도 하지요? 그래서 D번이 더 맞는 답입니다. 


3. Monetary policy 이자율은 NIR 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럼 Fiscal policy 에서 IR 변화도 NIR 인가요? 강의에서 딱히 NIR RIR 언급안하셨던거 같아요. 돌려보고 싶어도 너무많아서 못 찾겠어요. 

 

--> fiscal policy후 money demand (예시로 exp. FP --> AD증가 --> PL증가, real GDP = income 증가  --> MD증가  --> NIR증가) 로 IR를 뽑으면 NIR이구요. 정부가 돈을 빌려서 썼다고 하면 Demand for loanable funds증가로 뽑으면 RIR입니다. 

 


Sunny~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