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Kelda Park] AP chemistry
Kelda 선생님의 Mastering AP part 2, Lesson_34_Chapter.10 Liquids and solids_02 16
Author whi*** Date Posted 2025-03-09 오후 6:19:49

안녕하세요, intermolecular force에 대한 질문입니다.


1. London dispersion force(LDF)는 nonpolar, polar 상관없이 다 있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가능한 건지 궁금해요. LDF는 nonpolar인 분자에서 partial - / +가 induced 돼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힘으로 이해했는데.. polar 분자는 partial charge가 계속 있는 것 아닌가요..? polar 분자의 LDF랑 dipole-dipole force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2. Hydrogen bond가 dipole-dipole force 중 H랑 전기음성도가 큰 N,O,F 같은 원소들 간에 생기는 힘으로 이해했는데 강의 22:01 부분에서 문제풀이 하실 때 hydrogen bond를 하는 분자들도 dipole-dipole force가 있다고 하셔서 hydrogen bond랑 dipole-dipole force랑 다른 건지(다르다면 어떻게 다른 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03-10 오후 5:16:04
안녕하세요 

 

사실 polar molecule 은 폴라니까 이미 극성 즉 dipole dipole force 가 있습니다 

그런데 electron 이 많아지면 polarity 가 일시적으로 더 세질 수 있다, 라고 생각하셔도 되고 

 

또는 폴라 분자라고 하더라도 nonpolar part 들도 존재하죠? C2H5OH 면 전체적으로는 폴라인건 사실이지만 

C-H part 들은 논폴라에 가깝고 거의 polarity 를 띄지않지만 

C2H5OH vs C3H7OH 의 경우에 hydrogen bond 를 할수있는 site 가 하나씩 있다는 것이 동일하지만, 

CH 의 갯수가 달라 total number of electrons 가 다르고 -> LDF strength 가 다르고 -> 따라서 boiling point 가 달라집니다. 

 

 

2. 폴라몰리큘인 이상 dipole-dipole force는 모두 합니다 

그런데 그 중 NOF 와 H 사이에 생기는 strong dipole-dipole force의 일종을 hydrogen bond 라고 이름한 것입니다 

ionic bond 나 covalent bond처럼 셀 수는 없으나 - intermolecular force 니까요 - 그러나 dipole-dipole 의 일반적인 세기보다는 훨씬 세기 때문에 

 

hydrogen bond 가 있다고 해서 언제나 highest boiling point 다 라고 할수는 없으나 

그래도 dipole-dipole force 들 중에선 스페셜 하게 세다고 보면 됩니다 

 

너무 애매한 경우에는 여러분 보고 boiling point 가 누가 큰지 맞춰라. 고 하지 않고 

이미 boiling point를 알려준 뒤에, 그것을 support 할 수 있는 설명을 하라고 합니다. 

 

도움 되셨기 바랍니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