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Roger Chang] Nigeria 관련 질문입니다.
AP Comparative government and politics 이론 (3) 21
Author aym*** Date Posted 2024-01-28 오후 5:46:51

안녕하세요. Nigeria 문제 풀이 하면서 궁금했던 점들 여쭈어봅니다.

(페이지는 64~76입니다.)


Set 1)

Q7- Biafran Civil War에 대해서는 교재에 내용이 없어서,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 있을까요?

Q18 - 왜 (C) - 'democracy is a form of government that will never work in Nigeria'는 문제의 정답이 될 수 없을까요? 나이지리아 국민들이 정부에 대한 회의감을 가지고 있으면서 'Democracy가 도입되더라도 잘 운영될 수 있을까?'라고 한다고 앞 강의에서 말씀하셔서요.

Q20-문제의 정답인 (D) 선지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Q24 - 'patrimonimalism'이 일반적인 patron-clientelism과 어떻게 다른가요? 윗사람들이 아랫사람들을 protect 해주고 watch after 해준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clientelism보다 관계가 더 specific 한 건가요? (그리고 set 2-Q13에서도 patron-clientelism은 정답이 되는데, patrimonialism은 정답이 되지 않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Set 2)

Q14 - 1999 Nigerian Constitution의 내용은 교재에 없는데, 알아야 할 내용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Q15 - (E) 'below average literacy rates'도 정답이 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Q21 - 왜 답이 D인지 납득이 잘 가지 않습니다. 어떻게 Constitutionalism이 national question에 관해 문제가 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요.



항상 긴 질문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강의 들어서 꼭 5점 받겠습니다 :)


2024-01-29 오후 2:05:58

7) Biafran 이나 쿠데타 에 대해서 자세히 물어보지 않습니다. 그냥 그런게 있었구나 정도만 알아도 충분합니다.

 

18) never work 이라고 믿으면 지금 정부도 세우지 못하겠죠. 잘하기 어려운거와 never 는 뜻이 완전 다릅니다.

 

20) Nigeria 에서는 한 지역에서 오래 정권을 잡고 있는것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지역을 돌아가면서 정권을 잡게 하는것을 따르는데 같은 지역에서 계속 대통령이 나오면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24) Patrimonialism 은 대통령이 다 권한을 가지고 아래 사람들에게 혜택을 나눠주는 방식이고 Patron clientelism 은 아무 정치인/공무원이라도 조금 힘이 있으면 그것을 사용하는것을 말합니다.

 

14) 특별히 알아야 할 내용은 없습니다. 그냥 지금 사용되는 Federalism 을 만들어 냈다는 정도만 알면 됩니다.

 

15) 빈부격차가 심한게 major problem 이고 E 는 상대적으로 minor problem 입니다.

 

21) national problem 은 사람들이 법을 잘 안지키고 나라를 여러개로 나누려고 하기 때문에 헌법을 믿고 따르지 않는게 문제가 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