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Chloe Kim] ap physics 1
ap physics 1 4
Author kim*** Date Posted 2024-01-10 오후 3:21:27

1.4.2 (c) 문제에서 position vs time 그래프의 y값이 줄어들다가 v=0이 되고

y값이 쭉 올라가다 또 v=0이 되는데 이 부분을 velocity vs time graph로 변화 하는 법이 이해가 안 가요.

position 그래프가 곡선일 때 velocity 그래프로 바꾸어 나타내는 법과 그 예시를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요!

2024-01-13 오후 1:55:46

안녕하세요 :)

 

Position vs. time graph의 기울기 = velocity 입니다!

 

(1) 0부터 A까지

Tangent line을 그려보세요. t = 0일 때에는 처음에 negative slope (=negative velocity) 입니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slope이 점점 완만해지다가 A에서는 tangent line이 horizontal line (zero slope)이 되죠? 

따라서 A 위치에서는 velocity = 0 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velocity vs. time graph에선 y value가 마이너스에서 시작하고 점점 0에 가까워져야한다는 뜻입니다.

 

(2) A부터 B까지

A에서 slope = 0 이었다가 오른쪽으로 이동할수록 기울기가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속도가 positive 방향으로 점점 커지고 있다는 뜻이므로 velocity vs time graph에서 y value가 점점 커져야 합니다. 

B에서 steepest slope을 가지기 때문에 velocity가 maximum이라는 뜻이구요!

 

(3) B부터 C까지

B에서 가장 가파르고, 오른쪽으로 이동할수록 다시 slope이 완만해집니다. 속도가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겠죠?

그리고 C에서는 다시 horizontal line (zero slope)이 되므로 속도 0이라는 뜻입니다.

속도 그래프에서도 y value가 점점 줄어들어서 0에 도달하게 그리시면 됩니다.

 

 

제가 강의에서 속도 그래프를 linear graph로 그렸는데요.

사실 속도 그래프가 line인지 curve인지에 대한 부분은 position graph의 function을 정확하게 알고 있고, 칼큘러스를 배워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Physics 1에서는 요구하지 않는 내용이기 때문에 모양이 "정확하게" 어떻게 생겼는지에 집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위에서 설명드린대로 "slope이 증가하면 velocity도 증가, slope이 감소하면 velocity도 감소" 이 정도면 이해하시면 되시고

MCQ에서 position vs time graph에 맞는 corresponding velocity vs. time graph를 찾아낼 수 있는 능력 정도만 키우시면 됩니다!

 

-클로이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