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앗! 죄송해요. 자료에 오류가 있네요.
해당 슬라이드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insertion/deletion 으로 인해서 frameshift로 생길 수 있고
그 frameshift가 stop codon이 만들어지는 nonsense mutation이 발생될 수 있다' 라는 것이 포인트이고,
밑에 염기서열은 이에 대한 예시를 보여주는거에요.
기본 원리만 잘 이해할 수 있다면 그 밑에 예시에선
2번째 triplet이 UAA, UAG, UGA stop codon 으로 변할 수 있다는 걸 상상해보면 될거에요.
열심히 강의 들어주셔서 감사하고, 차후에 오류는 시정조치를 할게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궁금한게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