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Roy Lee] ap biology 세포 관련 질문
2.10,2.11 Compartmentalization 21
Author min*** Date Posted 2023-10-29 오후 2:22:41
로이 선생님! 선생님 강의 너무 재밌있게 잘 보고 있어요ㅎㅎ 세포 관련해서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남기게 되었어요. 왜 박테리아 세포는 nucleus가 있으면 dna를 보호해줄 수 있음에도 중요한 dna가 외부 위험에 취약하게 cytoplasm에 둥둥 떠다니게 놔두는 거예요? 또 여러 세포로 분열하면 (multicellular가 되면) 선생님께서 강의에서 얘기하신 것처럼 SA:V ratio 가 늘어나서 exchange of material 도 빨라지고 heat cooling도 빨라질 텐데, 왜 단세포 형태를 유지하는지, 또 왜 더 유리한 형태로 진화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2023-10-31 오전 8:57:03

안녕하세요!

 

아주 좋은 질문이에요.

학생은 나중에 진화론 배울때 정말 즐겁게 공부할거라고 예상이 되네요 ㅋㅋ

 

 

1. 어떤 생명체가 지속적으로 변화할때

가장 중요한 것은 cost vs benefit을 생각해보는 거에요.

i.e. everything has a price.

 

nucleus를 만들어서 중요한 DNA를 보호하는 것은 

eukaryotic cell 입장에선 아주 중요한 일이지만,

빠르게 분열하는 생존전략을 택한 박테리아 입장에선

단순한 내부구조를 통해 

더 쉽고, 빠르게 분열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할 수 있어요.

 

또한 DNA가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해 

유전물질이 손상되고, 생명체가 쉽게 죽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그 잦은 손상으로 인한 faster mutation rate가

박테리아로 하여금 다양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원인이 될 수도 있어요.

 

some changes may be too "costly" in terms of energy or materials

and provide too little benefit in terms of survival,

making it unnecessary for the cell.

 

 

2. 학생이 물어본 multicellular 형태로 살아가는 것은

이미 많은 박테리아들이 시행하고 있는 생존방식이에요.

우리가 흔히 박테리아에 대해 얘기할땐, 개별적인 세포 하나를 얘기하는것이 아니라

하나의 집락 (bacterial colony) 를 언급하는 것이고,

이는 수천에서 수만개의 박테리아들이 모여서 만든 집단이에요.

 

미생물 연구에 의하면, 

특정 박테리아 종류들은 집단을 만들때,

서로 화학물질을 통해 정보교환을 하고 역할 분담을 하면서, 

집단 자체의 생존확률을 높이는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quorum sensing 이라고 하는데, 4.1단원에 나와요.)

this would be the foundational basis 

upon which complex cell-to-cell communication in eukaryotes later develops.

 

 

3. 마지막으로,

앞으로 진화론을 배우면서 제가 계속 강조를 하겠지만,

진화의 최종목표는 "인간" 혹은 "고등생명체"가 아니에요.

세포가 무조건 더 크고, 더 힘이 쎄고, 더 복잡한 형태를 갖추는게 목표가 아니에요. 

진화의 최종목표는 단순히 현재 환경에 가장 적합한 생존 및 번식이에요.

 

eukaryotic cell이 prokaryotic cell보다 모든 면에서 우월하다,

prokaryotic cell들의 목표는 eukaryotic cell이 되는 것이다 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인간중심적인, anthropocentric한 시점이죠.

 

예를 들면, 

화산 분화구에서 인간들은 살아남지 못하겠지만,

어떤 박테리아들은 생존할 수 있어요.

이 상황에서 인간은 박테리아에 비해 생존능력이 떨어지고, 진화론적으로 덜 "발달"된거죠.

생명체들은 그저 현재 환경에 맞춰 

가장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태를 추구하고 있어요.

 

 

도움이 됐나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