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선 CCl4에서, C-Cl bond = polar bond 입니다. electronegativity 차이가 "있구요" .
그러나 이 bond 에 형성되는 dipole(=polar bond) 들이 사방으로 반대로 향하기 때문에, 모두 cancel 되어서 molecule 자체는 결과적으로
nonpolar molecule 이 됩니다. 그러므로 학생 질문에서 "Molecular structure에 의해서 Dipole이 Cancel되어서 Nonpolar인가요?" --> 이게 맞게 이해한 것입니다! ^^
HCl에서는 H와 Cl 사이 electronegativity 차이가 있고, polar bond 인데 이게 cancel 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polar molecule 이 되는것이구요.
정리해서 설명하면
nonpolar molecule 이 되는 경우는 두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는데요.
- 모든 bond가 nonpolar bond로 이루어진 경우 ( C-H처럼 electronegativity차이가 거의 없거나, Cl-Cl 처럼 같은 element로 이루어진 경우)
- polar bond(=dipole)을 가지고 있지만, 그게 모두 cancel 되는 경우 --> 이 경우는, 수학에서 vector를 배웠다면 vector sum 처럼 이해해보면 쉬워요.
제가 강의에서도 이 개념으로 설명을 했는데,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면 cancel 되어서 힘의 작용이 0이 되는 것이면dipole이 모두 cancel 되면 nonpolar molecule 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
마지막으로, bond 양옆에 서로 다른 element가 붙어있는데 nonpolar bond로 취급하는 경우는 C-H 밖에 없습니다.
그 외에는 모두 electronegativity 차이가 있고, 그러므로 polar bond라고 생각하면 돼요. ^^
이 개념들을 잘 이해하려면 다양한 예시로 molecule을 접해보고 문제에 응용해보면 훨씬 쉬워질거에요.
현재 인강으로 올라와있는 단원별 MCQ 강의도 개념 배운 것 활용해볼 수 있는 문제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여건이 되면 개념강의와 함께 단원 맞춰서 문제 풀어보고 듣는걸 추천드려요 !!
이해가 잘 되었을까요 ? 또 질문 생기면 남겨주시구요!!
강의 열심히 들어주어서 저도 항상 감사합니다 학생님~~~~!! ^__^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