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생 ^^
제가 며칠동안 답을 못하고 드디어 답을 할수있게 되어서 미안합니다 .
학생이 수업을 정말 잘 듣고 있다니 강사로서 이것보다더 힘이 나는 이야기는 없네요 :)
질문 1) Unit 2-7 MCQ 답이 b 인데 제가 c라고 강의를 했을가요?
제가 이따가 확인하겠지만 그랬다면 미안합니다.
question에서 처럼 pump로 K+가 안으로 들어오는데 K+ channel으로 밖으로 나가지 못하니 Membrane potential이 disrupt되는게 맞습니다. 답은 b 입니다
질문2) 한가지 이해가 가지 않는것은 중간에 있는 protein pump가 active transport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cytosol 안에 Na+ concentration이 extracellular concentration보다 낮아야 하는것이 아닌가요?그렇다면 Na+ channel을 통한 이후에는 이러한 concentration gradient가 생기지 않는데 Na+ channel --> Na+/K+ pump --> K+ channel의 순서대로 이어지는것이 아니라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activity라는 의미인가요? 아니라면 pump가 마지막의 순서로 와야하는것 아닌가요?
네 맞습니다. 평소에 resting potential 이 -70mV 이고, gated Na+ channel 이 열려서 Na+이 안으로 들어와 action potential (+35mV)가 되면, votage gated K+ channel이 열려서 K+가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그러면 다시 membrane potential을 유지하기 위해서 Na+/K+ pump가 Na+ 3개씩 밖으로, K+ 2개씩 안으로 pump을 하는거지요. Na+channel -> K+ channel-> Na/K pump 순서로 됩니다.
근데 위의 그림은 그냥 항상 열려있는 leak channel인거 같아요. 그래서.. 그림에 그려져있는 순서가 꼭 작동하는 순서라기보다는.. leak channel이니 항상 열려있는 만큼 channel로 들어가고, 나가면, pump에의해 다시 나가고, 들어오고..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그림이다.. 라고 이해하면 될거같습니다 ^^
질문3) 현재 칼리지보드에서 공개하는 기출 mc는 없습니다. 예전에는 한시적으로 공개한적이있어서 그걸로 샘이 practice test 영상을 찍었어요. 페이지에 확인바랍니다 ^^ 그걸로도 감을 잡을수있을겁니다. 더 많은 real mcq 준비는 각 학원에서 할수있을겁니다. 샘이 출강하는 학원으로 문의해서 현강에서도 만나면 좋겠네요 ^^
우리 학생 끝까지 화이팅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