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Dani Kim] IB Bio part3
IB biology part3 28
Author cre*** Date Posted 2023-09-16 오후 10:03:51

안녕하세요 내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1. 교재 자료 107페이지에 보면 By the time the embryo reaches the uterine cavity, it is approximately 100 cells in size 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그럼 포배기(blastocyst)에 도달했을때의 cell size가 100cell size로 이해하면 될까요? 

  보통 32-74세포기에 해당하는 시기가 포배기로 알고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2.  교재 자료 105페이지에 보면 oogenesis과정을 통해 Mitosis replaces "germinal cells" only early in female's development의 내용이 있는데, 

  이는 난원세포가 제1난모세포로 되고 나서(제1감수분열 전기에 멈춘 상태) 사춘기까지 유지되는 그 과정을 의미하는 걸까요? 

  정확히 germinal cell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 part3 교재 자료 32페이지에 보면 아밀로펙틴의 1,6 결합을 끊기 위해서는 maltase, glocosidase and dextrinase가 필요하다고 적혀있는데, 

   maltase는 익히 익숙한 효소이지만 glocosidase와 dextrinase는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 보통 소장의 상피세포 벽에 박혀있는 효소들은 이당류 분해 효소들인데 glocosidase와 dextrinase는 익숙하지가 않네요. 

2023-09-21 오전 4:42:56

1. 네 blastocyst 도 사실 상세하게 나누면 early, mid, late 시기로 구분되어있어서 시기별로 cell수는 다르다보니

어느 시기를 기준으로 잡느냐 따라 숫자표현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IB biology에서 다루어지는 부분이 아니어서 강의에서는 굳이 언급하지 않았구요.
2. germinal cell 은 IB bio(그리고 다른 과정에서도)에서 잘 사용되지는 않는 단어인데요, 보통은 germ cell (=sex cell)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교재에 나와서 질문 주신거 같은데

교재에는 이미지 등 다양한 소스를 활용하다보니, 단어 하나하나 매치하고자 하면 오히려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을 것 같아요.
강의에서 구두로 다루어진 oogenesis 기준으로 과정을 익히시는게 오히려 헷갈리지 않고 도움 될 것 같습니다. 

3. IB bio에서 위 언급된 효소 중에는 maltase만 알면 되는데요,
설명에 나온 그대로 glucosidase와 dextrinase 또한 amylopectin 1-6 결합 끊는 효소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