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Chloe Kim] AP Physics 1 예시 문제 질문
Chloe 선생님의 The High-end AP Physics 1 개념정리 (강의 unit 1.3) 5
Author kac*** Date Posted 2023-08-04 오전 9:41:09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잘보고 있습니다!


강의 1.3번의 예시문제 example 1.3.2 문제와 강의 1.4에 관해 여쭤볼게 있습니다!


첫번째 질문은, 1.3.2에서 문제 푸실때 처음에 첨부 사진에 제가 표시한것처럼 x-axis, y-axis를 그려서 component를 분해하고 나서 시작해야한다고 하셨는데, 이 component 를 분해하는 기준이 뭔가요? Three types of accelerating motion으로 문제를 푸는건 알겠는데, 왜, 그리고 어떻게 분해를 해야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두번째 질문은, 강의 1.4에서 velocity from position graph를 그릴때, 두번째 첨부파일의 위의 그래프의 position graph는 linear형태의 그래프라서 velocity graph가 상수함수의 형태가 되는거고, 밑의 position graph는 곡선형태의 그래프라서 velocity graph가 linear의 형태가 되는건가요? 두 그래프의 velocity graph의 형태가 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 



Thank you for any help in advance.

2023-08-04 오후 1:42:42

안녕하세요 :)

 

Velocity vector랑 acceleration vector랑 ① 같은 방향일 때 speed up ② 반대 방향일 때 slow down ③ 수직일 때 direction changes 이렇게 세 가지는 이해를 하셨죠? 

Velocity vector 랑 parallel 한 방향을 x축으로 잡고 velocity vector랑 수직 방향을 y축으로 잡아야 합니다. 

그래야 parallel component -> changes speed, perpendicular component -> changes direction 이렇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질문에서는 slope of position vs time graph = velocity 입니다. 

따라서 첫번째 그래프에서 linear graph는 constant slope이기 때문에 constant velocity를 가집니다. 그래서 그래프도 horizontal line입니다!

두번째 그래프에서는 처음에는 negative slope으로 시작해서 점점 완만해지다가 point A 에서 slope이 0이 됩니다. 그래서 velocity graph에서도 negative 에서 시작해서 0에 가까워지게 그리시면 됩니다.

A하고 B 사이에서는 slope이 0으로 시작했다가 점점 steep해지고 있기 때문에, velocity도 마찬가지로 0에서 시작해서 점점 양수방향으로 커지게 그리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B하고 C 사이에서는 slope이 positive이다가 점점 완만해져서 0에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에, velocity도 마찬가지로 양수에서 시작해서 점점 0에 가까워지도록 그리시면 됩니다 :)

 

질문 생기면 또 수업게시판 찾아주세요!

 

-클로이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