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켈다샘입니다 ^^
켐이 처음이시군요
마스터링은 샘이 최대한 자세하게 찍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AP chem 이긴 하기 때문에 - 또 RH chem 의 모든 디테일을 하나하나 녹여는 냈지만
RH chem 수준의 내용들 (AP chem 으로 치면 쉬운 내용들을 ) 하나하나 여러번 설명하며 연습하는 코스는 아니기 때문에
처음 배우는 친구들 입장에서 디테일이 빠져있지는 않다 하더라도 - 여전히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acid naming 에 대해서 rule 은 강의에서 다룬 부분이 다인데요
대표적인 예시로
H2SO4
H2SO3
H2S
등에 대해서만 알면 나머지 룰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oxygen 이 들어있으면 hydro 라는 말을 쓰면 안되고
-ate -> - ic acid
-ite -> -ous acid
-ide -> hydro -ic acid
로 동일한 패턴입니다.
그래서
H2SO4 sulfuric acid
H2SO3 sulfurous acid
H2S hydrosulfuric acid
이렇게 되는데
이러한 네이밍 룰은
다른 경우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답니다. ^^
naming rule 을 여기에 모두 적을수는 없겠으나
covalent compounds 는 몇개인지 prefix를 mono di tri 등을 붙여서 읽고
ionic compounds 는 prefix를 읽으면 안된다로 크게 정리할 수 있겠지요
charge 같은 경우에도 valence electron number 에 따라 각각의 group 마다 왜 그러한 charge 가 preferred 되는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실 valence electron 이라든가 electron configuration 등에 대한 이해가 하나도 없으면 그 부분이 이해가 어려울 수 있는데
그것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h 7 에서 나오게 됩니다.
이유는 AP chem 의 어떠한 책도 켐에 대한 기초가 어느정도 있다는 가정하에서 쓰여집니다.
그러나 샘이 최대한 기초적인 설명을 빼놓지 않고 설명하는 강의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regular/honors chem 의 모든 디테일을 녹여낼 수는 없어서
처음 듣는 학생이라면 charge 에 대한 패턴을 어느정도 받아들이고 적고 넘어가면
(group 1, 2, 3는 +1, +2, +3 를 가지려고 하며, group 15, 16 17은 -3, -2, -1 을 가지려고 하죠
그 밖의 경우에 대해서는 하나하나 설명이 필요합니다. 위에 언급한 것들 중에도 예외는 있습니다)
나중에 valence electron and electron configuration 등을 배울 때 이해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배우는게 너무 힘들고 모르고 넘어가는 느낌이라 힘들고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
아무래도 현재 이 강의보다 쉬운 강의 - highschool chem - master key 도 있고 mastering 도 있는데요
그 강의들에서 기초를 다지고 오는 것도 방법입니다.
주기율표는 어떤 것을 써도 상관이 없고
인터넷에서 찾아도 어느 소수점까지 나타냈는지가 다를 뿐 모두 동일합니다
파일이 첨부되어있는 것으로 알았는데 빠졌다면 미안합니다
여기에 첨부하겠습니다 ^^
그럼 열공하시고 화이팅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