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Kelda Park] Equivalence point calculation 질문
Master Key for GPA Chemistry (Part 2) 16
Author kon*** Date Posted 2023-07-16 오후 11:38:42

Equivalence point calculation 파트에서 exercise 3번 문제풀이 하실 때


1.2 mol H+ = 1.2 mol OH-라고 하신 것까진 이해가 되었는데 그 다음에


1.2 mol OH- = 1.2 mol NaOH- 라고 하신 것과


1.2 mol x 40g/1mol = 48g NaOH 라고 하신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ㅠ


1.2 mol OH- = 1.2 mol NaOH- 이걸 설명하실 때 둘의 subscript가 같아서라고 하셨는데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와 1.2 mol x 40g/1mol = 48g NaOH에서 NaOH의 mol에 왜 molar mass를 곱하는지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립니다.

2023-07-18 오후 8:21:12

안녕하세요 

 

우선 1.2 mol H+ 가 1.2 mol OH- 라는 것 

그리고 그 둘이 같아야 equivalence point 이고 perfectly neutralized 되는 거 까지 이해하였으면 잘 이해하였습니다. 

 

다만 학생이 말한 1.2 mol OH- 가 들어있으려면 1.2 mol NaOH 라는 것은 오히려 쉬운 부분이에요 :) 

mol 은 mass 가 아니라 particle number 이죠? 

 

즉 2 persons have 2 heads and 4 arms and 4 legs 라고 할수있는 것처럼 

1 NaOH has 1 Na+ and 1 OH- 가 됩니다. mass 로 생각하는게 아니라 갯수를 말하는 거에요 

1 mol NaOH has 1 mol Na+ and 1 mol OH- 이고 

같은 ratio 로 역시 

1.2 mol 이라고 하면 each NaOH 마다 Na+ 한개, OH- 한개가 들어있으니 

1.2 mol NaOH has 1.2 mol OH- 가 되어요 

simply OH 아래에 어떤 숫자도 없어서 

NaOH 갯수와 OH 의 갯수는 같아요 

 

(만약 1 mol Mh(OH)2 라면 그 속에는 2 mol OH-가 있는 거거든요) 

 

그래서 1.2 mol NaOH 까지 나오면 

문제 자체가 mass 를 구하라고 한 문제였기 때문에 

molar mass 를 곱한겁니다. 

 

문제마다 다른데 그 문제는 how many grams of NaOH are required to neturalize 였어요 

그래서 mass 를 찾기 위해서 

mol * g/mol 을 해준 것이고 

 

현재 1.2 mol NaOH 가 있으니까 거기에 mass per a mol of NaOH 를 periodic table 에서 찾아서 곱한 겁니다. 

 

이해가 되실까요? :) 

열공하시고 

화이팅입니다 

 

켈다샘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