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Dani Kim] Factors affecting melting point
IB Chemistry HL (Pt 1) 3.2 & 4.4 12
Author kri*** Date Posted 2023-05-27 오후 3:22:17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melting point가 metallic bonding, silicon's covalent structure, IMF, etc.에 전부 영향을 받는다 라고 되어있는데 그렇다는건 intra & intermolecular forces에 전부 영향을 받는다는 건가요? 어떤 물질을 '녹인다'라고 하면 그 molecule/compound 내부의 atom들을 rearrange 하는게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intramolecular forces (covalent bonding 같은)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얘기는 어떤 분자 내부에 원자들 사이의 힘이 끊어진다는 얘기라고 생각이 돼서요. 그렇게 되면 physical property인 melting point랑 관련 있는게 아니라 오히려 chemical reaction (rearrangement of atoms by breaking bonds)의 일부가 되는거 같은데... 그냥 단순히 어떤 물질이 state change를 얼마나 쉽게/어렵게 하는지를 보는 상황에서 왜 intramolecular force를 고려해야하나요...? 물질마다 "melting"의 정의가 다른가요 (어떤 물질은 분자끼리의 힘을 약하게 해서 액체가 되고, 또다른 물질은 분자 내부의 원자끼리의 힘을 약하게 해서 액체가 되는...??) ? Melting point 얘기가 topic 4.4 intermolecular forces 에서 또 나와서 다시 헷갈려요ㅠㅠ

2023-05-30 오후 1:24:09

안녕하세요 ^^

melting point 는 말 그대로 물질을 이루는 입자들 사이 attraction을 끊어내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지 결정되는데요,

입자 사이 attraction 종류가 물질 구조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학생이 헷갈리는 부분이 생긴것 같아요. 


먼저 물질의 구조에 따라 melting point 결정하는 요소가 달라진다고 보면 됩니다.

molecule 의 경우 intermolecular force가 melting point를 결정합니다. (molecule 내부의 covalent bonding 은 고려대상 X) 

molecule 이 아닌 그밖의  covalent network, metal, ionic compound 구조의 경우 'intra'molecular force가 melting point를 결정합니다. 

(covalent bonding, metallic bonding, ionic bonding) 

승연학생 질문 - "물질마다 melting 의 정의가 다른가요? "- 에 대해서는, 

정의가 다르다고 볼 수는 없지만, 입자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보는 기준이 

molecule 물질의 경우는 그 물질을 이루는 최소한의 단위(성질이 보존되는)가 molecule 이기 때문에 atom 하나하나로 끊어내는 것이 아닌 molecule이 움직일수 있는 상태를 melting 이라고 보구요, 

그밖의 다른 물질(metal,ionic,covalent network)의 경우는 최소단위가 molecule이 아니기 때문에 atom, ions 이렇게 더 작은 아이들이 움직이는 상태를 melting이라고 간주하는 것이죵.

바로 이러한 차이가, 

simple molecule로 이루어진 물질의 경우 나머지 물질들보다 melting point 가 훨씬 낮다는 특징으로 이어집니다!

이해가 완벽하게 되었죠? ^^
-Dani 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