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melting point 는 말 그대로 물질을 이루는 입자들 사이 attraction을 끊어내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지 결정되는데요,
입자 사이 attraction 종류가 물질 구조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학생이 헷갈리는 부분이 생긴것 같아요.
먼저 물질의 구조에 따라 melting point 결정하는 요소가 달라진다고 보면 됩니다.
molecule 의 경우 intermolecular force가 melting point를 결정합니다. (molecule 내부의 covalent bonding 은 고려대상 X)
molecule 이 아닌 그밖의 covalent network, metal, ionic compound 구조의 경우 'intra'molecular force가 melting point를 결정합니다.
(covalent bonding, metallic bonding, ionic bonding)
승연학생 질문 - "물질마다 melting 의 정의가 다른가요? "- 에 대해서는,
정의가 다르다고 볼 수는 없지만, 입자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보는 기준이
molecule 물질의 경우는 그 물질을 이루는 최소한의 단위(성질이 보존되는)가 molecule 이기 때문에 atom 하나하나로 끊어내는 것이 아닌 molecule이 움직일수 있는 상태를 melting 이라고 보구요,
그밖의 다른 물질(metal,ionic,covalent network)의 경우는 최소단위가 molecule이 아니기 때문에 atom, ions 이렇게 더 작은 아이들이 움직이는 상태를 melting이라고 간주하는 것이죵.
바로 이러한 차이가,
simple molecule로 이루어진 물질의 경우 나머지 물질들보다 melting point 가 훨씬 낮다는 특징으로 이어집니다!
이해가 완벽하게 되었죠? ^^
-Dani 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