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Dani Kim] Calculating the empirical formula
IB Chemistry HL (Pt 1) Topic 1.1 4
Author kri*** Date Posted 2023-05-23 오전 5:05:35

안녕하세요! 


요 문풀 강의에서 MgxOy 의 empirical formula 찾아야해서 Mg와 O의 몰 수 계산할때 molar mass를 전부 atom 하나일때를 기준으로 각각 24.12g/mol, 16g/mol을 쓰시더라구요. 근데 data table에서는 그냥 magnesium oxide라고만 되어있고 문제에서 구하려는 것 자체도 empirical formula여서 x, y값, 그러니까 Mg랑 O가 몇 개씩 들어가 있는지 모르는 상태 아닌가요.? 왜 molar mass 넣어서 몰 수 계산 할때 원자 하나 기준으로 계산하는지 이해가 안 갑니당.. 전 atom's standard state인줄 알고 O2 의 molar mass를 넣어서 계산해서 틀려서요ㅠㅠ


인강인데도 질문마다 답변을 빠르고 섬세하게 잘해주셔서 물어보고 싶은거 생길때마다 전부 게시판에 올려버리는 중이네용.. :p 

2023-05-23 오후 7:32:28

안녕하세요^^
네, 말 그대로 element 라는건 한종류로만 이루어진 물질인데, 자연에서 존재하는 편안한 형태로 우리가 element를 배운거에요.

예 - O2 (O로만 이루어짐), H2 (H로만 이루어짐), N2 (N으로만 이루어짐) 
그런데 여러 물질이 함께 구성된 compound가 될 때는 이 숫자가 의미 없어집니다! 그러므로 MgxOy에서 O가 몇개 들어있는지는, 승연학생 말처럼 "모르는 상태"에요. 

또, MgxOy라는 물질을 '얼만큼' 가져와서 측정하는지에 따라서도 그 숫자는 달라지는거구요!
그래서 우리는 Mg, O 각각을 '하나'일때 기준 mass로 , relative atomic mass를 사용한거구요 ^^
그럼 우리가 가져와서 측정하는 샘플에 Mg 랑 O가 각각 몇몰 씩 들어있는지 알수있겠죠? 

그런데 여기서 또한번 생각해봐야할건, empirical formulas는 정확한 숫자를 요구하는게 아닌,

Mg, O 둘 사이 simplest ratio 를 찾는거에요! 
그러니까 숫자가 어떻게 나오든 상관없이, 우린 두 숫자 사이의 비율을 차자서 empirical formula를 찾을수 있는거져~~~!


답변으로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고 하니 저도 뿌듯하네요! 게속 열심히 수강해주세요! 화이팅!!! ^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