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Grace Lee] Microeconomics 질문
Microeconomics(문제풀이): production, cost, perfect competition 17
Author jme*** Date Posted 2023-05-04 오후 10:01:15

안녕하세요 선생님! 선생님 강의로 독학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 ! 


MR>MC 의 마지막 포인트가 quantity 4일 때 MC 8이 되는 포인트인 것 까지는 이해가 되었습니다만,

아래 첨부된 사진에서 푸른색 그래프(강의 속 정답)이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정확히는 주어진 상황에서는 MR인 $9와 같은 MC를 가진 output quantity가 없는데 어떻게 MR=MC 포인트에서 4를 quantity로 그릴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2023-05-05 오후 8:31:30

네 안녕하세요!!!

 

Profit maximization point 가 MR > or = MC 인것 잘 이해하고 있군요! :)

 

지금 문제가 준 hat production table에서 결정되는 profit max point는 

4th output : MR(9) > MC(8)

5th output : MR(9) < MC(10)

이기 때문에 Profit maximization firm has to produce output when MR is greater than or at least equla to MC, profit max output = 4th unit

이 맞습니다! 


학생분이 그린 왼쪽의 그래프처럼 MC = MR 이 되기 직전 MR (9) > MC (8) 에서 4개의 output 이 그려지는 것이 정확한 grid를 가지고 찾는 경우에는 

맞습니다 !!!  - 그래서 만약 이렇게 학생분이 그래프를 그리고 profit max point를 4th unit이라고 학생분이 정확히 문제에서 밝혀준다면 답입니다 :)

 

하지만 College Board 에서 Example Question의 Guideline에서는 그래프상에서 MC = MR point를 Profit max point로 고정시켜서 그래프를 그리도록 하고있습니다.

그래서 4th unit에서 profit max point MC = MR 와 만나도록 편의상 고정시켜 그려준 것이랍니다! 

 

College board 의 Guideline을 토대로 한 답은 MC = MR에서 profit max quantity가 고정되도록 그래프가 변형되어 있습니다만,

학생분이 grid에 맞추어 왼쪽에 그린 그래프로 이해한 것 맞습니다!!! :)

College board 의 Guideline에서 그래프의 profit max point를 MC = MR로 변형하여 답이 그래프를 그렸다는 걸 확인하여 주면 되어요!

 

그럼 열공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