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Ki Young Song] Counter Argument (Cont)
New AP World History Modern_개념정리 1
Author jae*** Date Posted 2023-05-01 오전 2:19:04

Intro, body paragraph 1, body paragraph 2, body paragraph 3로 구성된 에세이에서 body paragraph 1을 counter argument로 적으려고 노력중입니다


CCOT같은 경우엔

body paragraph 1: change 

body paragraph 2: continuity 

body paragraph 3: continuity 


Comparison같은 경우엔

body paragraph 1: Similarity

body paragraph 2: Difference

body paragraph 3: Difference


이런식으로 접근하는 중인데, causation essay 같은 경우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body paragraph 1: Cause

body paragraph 2: Cause

body paragraph 3: Cause 

이런 형식으로 접근해야 할까요?


또,

In the period after 1900,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economy varied, with many states adopting policies to control or manage their economies. 

Develop an argument that evaluates the extent to which one or more states controlled their economies in this time period.

이런 prompt 같은 경우엔 어떤 historical reasoning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2023-05-03 오전 2:12:38

네 설명을 들으니 무슨 말인지 이해가 좀 되네요.

 

사실 history essay의 경우 정해진 구성 요건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구성이 탄탄하면 그 자체로 완성도가 높아지므로, 이를 근거로 complex understanding 점수를 주는 경우는 꽤 봤어요. 그런 의미에서 구상하신 것처럼 counter argument 포함 세 개의 body가 제시되고 그 내용이 충실하다면 매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만, 그러한 구성 자체에 너무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예를 들어 첨부파일을 보시면 2021년 LEQ 만점 샘플 에세이에 대한 채점 과정 설명이 나오는데, 이에 따르면 reasoning skill을 판단하는 근거가 구성(=paragraph 전개)에 달린게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어느 부분이든, 아니면 단지 하나의 문장이라도 reasoning skill을 보여주는 내용이 있으면 된다는 거죠.

 

글을 쓰다보면 수준이 높아질수록 causation 과 comparison이 다 나올 수도 있고, 이런 식으로 여러 reasoning skill이 섞여 있거나 완전히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전체적인 완성도라고 보시면 맞아요. 결과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에세이는 채점자들이 어떤 식으로든 근거를 찾아내 점수를 주는 것을 봅니다.

 

따라서 적절히 반박할만한 counter argument가 떠오르면 그 내용을 활용하되, 잘 떠오르지 않는 causation의 경우에까지 기계적으로 counter argument를 배치하려고 애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In the period after 1900,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economy varied, with many states adopting policies to control or manage their economies. 

Develop an argument that evaluates the extent to which one or more states controlled their economies in this time period.

 

그런 의미에서 위 prompt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여러 나라의 상황을 비교하는 comparision이 가장 쉬운 접근방법으로 생각되지만 CCOT, Causation이 모두 가능합니다. 해당 문제에 대한 샘플 에세이와 scoring commentary가 컬리지보드에 공개되어 있을테니, 찾아 읽어보시면 구체적으로 어떤 접근이 이루어지고 인정을 받았는지 참고하실 수 있을겁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