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1 part2 교재 p.32 4번 문제
E가 답인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C는 왜 틀렸나요?
--> (문제를 입력해주면 더 빠른 답변을 해줄수 있습니다.)
4. The demand for labor will decrease in response to which of the following?
(A) Increased productivity of labor
(B) Better training of all laborers
(C) A decrease in the supply of labor
(D) An increase in the supply of labor
(E) Decreased demand for goods and services produced by labor
(C)에서 Labor Supply 가 줄어드는 것은 일하는 사람들의 공급이 줄어드는 것인데, labor supply가 줄어든다고, labor demand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수요와 공급 - demand supply curve 는 서로 shift 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 part2 교재 p.34 shifters of labor-supply curve
(3) alternative opportunities가 바뀜에 따라 supply curve는 어떻게 바뀌나요?
alternative opportunities가 올라가면, supply curve는 증가해 right shift 하나요?
이때, alternative opportunities의 증가는 여자/흑인의 job opportunitiy가 늘어나는 건가요?
--> alternative opportunities가 올라가면, supply curve는 증가해 right shift 하나요?
네 맞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일자리의 기회가 늘어나는 것입니다.
#3 part2 교재 p.51 3번 문제
B가 답인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왜 C랑 E가 틀린 건가요?
--> (문제를 입력해주면 더 빠른 답변을 해줄수 있습니다.)
3. If positive externalities exist in the market for flu shots, which of the following is true?
(A) Taxing flu shots will lead to the socially efficient level of output.
(B) Subsidizing flu shots will lead to the socially efficient level of output.
(C) The firm making the flu shots is charging too low a price to reach the socially efficient level of output.
(D) The firm making the flu shots is producing where marginal social cost equals marginal social benefit.
(E) The firm making the flu shots is producing the socially efficient quantity if the market for flu shots is perfectly competitive.
지금 문제가 positive externalities 상황이라고 이야기 해주었습니다.
flu shots 은 positive externalities of consumption 상태입니다. MPB 위에 MSB 커브가 그려지고,
market Q 는 socai opt Q 보다 낮습니다. 그래서 subsidy를 통해 Q를 높이는 것이 정부의 해결책 입니다.
그런데 현재 market Q가 낮은 것이 (C)에서 말한 것처럼 가격이 낮아서 라고 한다면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습니다.
가격이 낮다면 market Q가 높아야 하는데, 가격이 낮은것과 Q가 낮은것을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설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E) market Q 는 socai opt Q 보다 낮습니다. (E) 에서 지금 market Q가 social Q라고 한다면 틀린 것입니다.
#4 part2 교재 p.52 FRQ (a)
D=P 그래프가 horizontal하게 그려지지 않는 이유는, 그 horizontal한 그래프는 one firm의 그래프여서 그런 것이지요?
그런데 지금 상황은 society 혹은 market 전체를 봐야 하므로 D=P가 아래로 내려가는 그래프이고요?
--> 네.
Assume the "market" for fireworks is perfectly competitive.
Draw a correctly labeled graph of the "market" for fireworks.
문제에서 Market graph 를 그리라고 했기때문에 Downward slope D 커브입니다.
#5 part2 교재 p.57 FRQ (a) 그래프
natural monopoly와 그냥 monopoly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왜 이 문제의 monopoly에서는 MC 그래프가 나이키 모양인데, p.56의 natural monopoly 그래프에서는 MC가 horizontal하나요?
--> Natural monopoly 는 Economies of scale 이 아주 큰 상황이기 때문에 이미 고정된 facility를 만들어서 최초의 Fixed cost는 높지만,
이후 물건 하나하나를 만들면서 추가되는 MC 는 낮고 거의 일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natural monopoly 에서는 MC 가 horiziontal, 또는 ATC 아래에서 downward slope 로 그려지기도 합니다.
ATC 가 계속 낮아지는 Economies of scale 상황이기 때문에 ATC 보다 MC 는 항상 아래에 그려집니다.
#6 part2 교재 p.57 FRQ (a) (i)
이 문제에서, 선생님께서 loss minimize인 점은 profit max인 점이라 하셨습니다. 이때, loss는 cost를 의미하나요?
또, 전에 질문드린 것의 답변 중에, AC minimize인 점은 productive efficiency point이지, profit max가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왜 그런가요?
profit max와 productive efficiency, 그리고 optimal output level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short run에서의 productive efficiency와 optimal output level는 언제인가요?
--> Loss 는 Profit 의 반대로 회사가 얻을 손해입니다. 손해가 가장 낮다 = 이익이 가장 높다 같은 말입니다.
AC minimum = 비용이 가장 낮다 = productive efficiency 입니다.
profit maximum = 이익이 가장 높다 = MC = MR 에서 결정됩니다.
비용(cost)과 손해(loss)는 다릅니다. profit max 에 대한 설명을 해주면서 중요하다고 언급해 주었습니다.
--> Part.2 p.13 에서 5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주었습니다.
강의를 꼭 보고 5개의 포인트의 다른 점을 확인해주세요. 모든 Market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추가로, zero profit과 profit maximization은 언제 같아지나요? equilibrium일때인가요?
--> Zero profit 은 P = ATC 일때고, profit max 는 MC = MR 일 때입니다. 만약 이 모든 커브다 다 만난다면 가능할 수 있습니다.
Perfect competition market 에서는 long run equilibrium 일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