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Grace Lee] AP MICROECON 질문
ch.5,6 1
Author yoo*** Date Posted 2025-02-24 오전 11:58:28

안녕하세요,

아래 질문 중 첫 번째 파트는 새로 생긴 질문이고, 두 번째 파트는 지난번에 질문 남겼으나 선생님께서 나중에 답한다고 해주신 부분입니다..!


#1 part2 교재 p.32 4번 문제

E가 답인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C는 왜 틀렸나요?


#2 part2 교재 p.34 shifters of labor-supply curve

(3) alternative opportunities가 바뀜에 따라 supply curve는 어떻게 바뀌나요?

alternative opportunities가 올라가면, supply curve는 증가해 right shift 하나요?

이때, alternative opportunities의 증가는 여자/흑인의 job opportunitiy가 늘어나는 건가요?


#3 part2 교재 p.51 3번 문제

B가 답인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왜 C랑 E가 틀린 건가요?


#4 part2 교재 p.52 FRQ (a)

D=P 그래프가 horizontal하게 그려지지 않는 이유는, 그 horizontal한 그래프는 one firm의 그래프여서 그런 것이지요?

그런데 지금 상황은 society 혹은 market 전체를 봐야 하므로 D=P가 아래로 내려가는 그래프이고요?


#5 part2 교재 p.57 FRQ (a) 그래프

natural monopoly와 그냥 monopoly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왜 이 문제의 monopoly에서는 MC 그래프가 나이키 모양인데, p.56의 natural monopoly 그래프에서는 MC가 horizontal하나요?


#6 part2 교재 p.57 FRQ (a) (i)

이 문제에서, 선생님께서 loss minimize인 점은 profit max인 점이라 하셨습니다. 이때, loss는 cost를 의미하나요?

또, 전에 질문드린 것의 답변 중에, AC minimize인 점은 productive efficiency point이지, profit max가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왜 그런가요?

profit max와 productive efficiency, 그리고 optimal output level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short run에서의 productive efficiency와 optimal output level는 언제인가요?


추가로, zero profit과 profit maximization은 언제 같아지나요? equilibrium일때인가요?


---------------------

아래의 질문은 1월 30일 질문입니다. 나중에 답 주신다고 하셨는데 누락된 것 같아 다시 질문드려요..!


#8 short run adjustment

perfect competition market과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 상황에서 profit이 생김에 따라 firms가 enter market을 할 때

1) Ch.3-8 (Pt1 교재 p.99) perfect competition market은 number of firms가 증가해 supply가 증가하게 되어 S 곡선의 right shift

2) Ch.4-6 (Pt2 교재 p.22)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은 number of firms가 증가해 number of customers per one firm이 줄어 demand가 감소해 D 곡선의 left shift

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왜 같은 상황/원인에 대해서 perfect competition market과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에서 움직이는 곡선이 다른가요?

각각의 곡선 shift에 대한 설명/이유가 서로(each other)에게도 성립하고,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왜 perfect competition은 S의 움직임이고 monopolistic competition은 D의 움직임인가요?


혹시 그 이유가

perfect competition market에서는 각 firm들이 원하는만큼 팔 수 있다고 가정하므로 (가격을 내려도 consumer 늘어나는 게 아니라 원래 consumer 유지한다는 가정) customers per one firm이 줄어들지 않아 D 곡선의 움직임이 아니라 S 곡선의 움직임을 보는 건가요?

그렇다면,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에서는 반대로 각 firm이 price maker이고, 서로 경쟁이 치열해지며 각각이 가져가는 customers가 바뀌게 되어 D의 움직임으로 보는 것인가요?



#9 market structure

Ch.4-9 (Pt2 교재 p.28) 2번에서

1) A는 monopoly의 설명인가요? (monopoly 중 electricity, water, nuclear power plant 같은 것들은 정부에서 지정해준다고 하셔서요)

2) B는 interdependent 하다는 의미니까 oligopoly의 예시인 건 알겠으나, monopolistic competition의 특징도 될 수 있지 않나요?

각 firm이 price maker니까 서로가 서로를 신경 쓸 수밖에 없지 않나요?

아니면 혹시, monopolistic competition에서는 각 firm들이 만드는 게 various하니까, 즉, 업종?이 다르니까 서로가 서로를 신경쓸 이유는 없나요? 그렇다 해도, 같은 업종 내에서도 기업이 많으므로 서로가 견제를 해야하지 않나요?



#10 monopoly

#10-1 Ch.4-2 (Pt2 교재 p.10~11)

monopoly에서는 long run equilibrium이 없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monopolistic firm은 언제나 p.10의 profit 상황을 유지할 수 있는 건가요? (정부의 subsidy 전까지는요)


#10-2 Ch.4-3 (Pt2 교재 p.13)

zero economic profit point(C점)가 P=ATC인 점이어서 그래프 상에서 ATC와 D가 만나는 점이라고 하셨습니다. (AP MicroEcon 개념 Pt2 4-3 강의 18분 20초)

그런데, 그 점은 allocative efficiency (socially optimum point)를 지난 지점이어서 firm이 더이상 produce하지 않는, 즉 갈 수 없는? 점 아닌가요..?

저는 Pt2 교재 p.10의 맨 아래 그래프처럼 profit maximize point의 Q에서 쭉 위로 올라가 ATC와 만나는 점이 답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즉, 선생님께서 잡아주신 C점과 P는 같지만, 왼쪽으로 움직여서 Qm을 지나고 Q축에 수직한 선(profit max point의 Q)과 만나는 점이요.


늘 답 자세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3-03 오후 12:32:56

추가 답변 드립니다...

 

#8 short run adjustment

perfect competition market과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 상황에서 profit이 생김에 따라 firms가 enter market을 할 때

1) Ch.3-8 (Pt1 교재 p.99) perfect competition market은 number of firms가 증가해 supply가 증가하게 되어 S 곡선의 right shift

2) Ch.4-6 (Pt2 교재 p.22)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은 number of firms가 증가해 number of customers per one firm이 줄어 demand가 감소해 D 곡선의 left shift

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왜 같은 상황/원인에 대해서 perfect competition market과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에서 움직이는 곡선이 다른가요?

각각의 곡선 shift에 대한 설명/이유가 서로(each other)에게도 성립하고,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왜 perfect competition은 S의 움직임이고 monopolistic competition은 D의 움직임인가요?


혹시 그 이유가

perfect competition market에서는 각 firm들이 원하는만큼 팔 수 있다고 가정하므로 (가격을 내려도 consumer 늘어나는 게 아니라 원래 consumer 유지한다는 가정) customers per one firm이 줄어들지 않아 D 곡선의 움직임이 아니라 S 곡선의 움직임을 보는 건가요?

 

--> 네 맞습니다. 

Perfect competition market 에서는 one firm = price taker 이기 때문에, mkt price 가 firm price 와 같고, 

가격 조정이나 Market share 의 변화 (Demand 움직임) 가 아닌 Supply 의 변화로 나타납니다.

Profit 을 보고 firms "enter" market --> Supply rightward shift --> Price decreases until P = ATC --> 이렇게 Long run equlibrium 을 찾아갑니다. 

 

 

그렇다면,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에서는 반대로 각 firm이 price maker이고, 서로 경쟁이 치열해지며 각각이 가져가는 customers가 바뀌게 되어 D의 움직임으로 보는 것인가요?

 

--> 네 맞습니다. 

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 에서는 one firm = price maker 이기 때문에, profit 을 보고 firms "enter" market --> 치열해진 경쟁이 한 회사의 고객 수를 줄어들게 하여 

--> 한 회사 마다의 Demand curve 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Price decreases until P = ATC --> 이렇게 Long run equlibrium 을 찾아갑니다. 

 



#9 market structure

Ch.4-9 (Pt2 교재 p.28) 2번에서

1) A는 monopoly의 설명인가요? (monopoly 중 electricity, water, nuclear power plant 같은 것들은 정부에서 지정해준다고 하셔서요)

2) B는 interdependent 하다는 의미니까 oligopoly의 예시인 건 알겠으나, monopolistic competition의 특징도 될 수 있지 않나요?

각 firm이 price maker니까 서로가 서로를 신경 쓸 수밖에 없지 않나요?

아니면 혹시, monopolistic competition에서는 각 firm들이 만드는 게 various하니까, 즉, 업종?이 다르니까 서로가 서로를 신경쓸 이유는 없나요? 그렇다 해도, 같은 업종 내에서도 기업이 많으므로 서로가 견제를 해야하지 않나요?


--> 문제를 볼게요 (문제를 직접 넣어주어야 더 빠른 답변 가능합니다...)

 

2. The characteristic of oligopolistic firms that makes them different from all other types of firms is that oligopolistic firms 

(A) are regulated by a state agency or federal agency 

(B) consider each others' decisions 

(C) advertise their products 

(D) produce differentiated products 

(E) produce identical products 


(A) 모든 Monopoly 가 그런것은 아니고, 정부가 public supply 를 해주어야 하는 중요한 utility 의 경우에는 해당될 수 있습니다.

(B) Oligopoly, Monopolistic competition 모두 주변 회사들을 신경쓸 수 밖에 없겠지만, 상대적으로 Oligopolistic firms 들이 서로에 대한 견제가 더 심할수밖에 없습니다.

만드는 물건들의 종류가 비슷하고 (similar products), 시장안에 회사들의 수가 적기때문에 서로의 가격변화와 트렌드 변화에 대해 더 민감할 수 밖에 없겠지요!

 

 

#10 monopoly

#10-1 Ch.4-2 (Pt2 교재 p.10~11)

monopoly에서는 long run equilibrium이 없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monopolistic firm은 언제나 p.10의 profit 상황을 유지할 수 있는 건가요? (정부의 subsidy 전까지는요)

--> Monopoly 도 Loss 일 수 있습니다. 언제나 Profit 일 수는 없지만, 높은 진입장벽때문에 다른 mkt structure 와 다르게 오랫동안 profit 을 유지할 수 있지요.

어떤 market 에서도 언제나 profit 이라는 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monopoly 는 long run 에 profit 유지가 가능합니다. 

 

 

#10-2 Ch.4-3 (Pt2 교재 p.13)

zero economic profit point(C점)가 P=ATC인 점이어서 그래프 상에서 ATC와 D가 만나는 점이라고 하셨습니다. (AP MicroEcon 개념 Pt2 4-3 강의 18분 20초)

그런데, 그 점은 allocative efficiency (socially optimum point)를 지난 지점이어서 firm이 더이상 produce하지 않는, 즉 갈 수 없는? 점 아닌가요..?

--> 이때는 Profit max, Allocative efficiency 모두 고려하지 않고, Price = ATC 로 Zero Profit 이 되는 지점을 찾은 것입니다. 

판매가격 (P)과 생산비용 (ATC) 가 같을 때 zero profit 상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저는 Pt2 교재 p.10의 맨 아래 그래프처럼 profit maximize point의 Q에서 쭉 위로 올라가 ATC와 만나는 점이 답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즉, 선생님께서 잡아주신 C점과 P는 같지만, 왼쪽으로 움직여서 Qm을 지나고 Q축에 수직한 선(profit max point의 Q)과 만나는 점이요.

--> 이건 Profit max point 에서 "이미 Quantity 와 Price 를 정하고,"  P = ATC 가 만나 Zero Profit 이 되는 상황을 찾은 것입니다.

항상 Profit max 인 상황을 가정하고 찾은 포인트입니다.

 

 

그럼 열공하세요! 

😊

 

 

 

 

 

 

2025-03-03 오전 11:35:08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1 part2 교재 p.32 4번 문제

E가 답인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C는 왜 틀렸나요?

 

--> (문제를 입력해주면 더 빠른 답변을 해줄수 있습니다.)

4. The demand for labor will decrease in response to which of the following? 

(A) Increased productivity of labor 

(B) Better training of all laborers 

(C) A decrease in the supply of labor 

(D) An increase in the supply of labor 

(E) Decreased demand for goods and services produced by labor

 

(C)에서 Labor Supply 가 줄어드는 것은 일하는 사람들의 공급이 줄어드는 것인데, labor supply가 줄어든다고, labor demand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수요와 공급 - demand supply curve 는 서로 shift 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 part2 교재 p.34 shifters of labor-supply curve

(3) alternative opportunities가 바뀜에 따라 supply curve는 어떻게 바뀌나요?

alternative opportunities가 올라가면, supply curve는 증가해 right shift 하나요?

이때, alternative opportunities의 증가는 여자/흑인의 job opportunitiy가 늘어나는 건가요?

 

--> alternative opportunities가 올라가면, supply curve는 증가해 right shift 하나요?

네 맞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일자리의 기회가 늘어나는 것입니다.

 

 

 

#3 part2 교재 p.51 3번 문제

B가 답인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왜 C랑 E가 틀린 건가요?

 

--> (문제를 입력해주면 더 빠른 답변을 해줄수 있습니다.)

3. If positive externalities exist in the market for flu shots, which of the following is true? 

(A) Taxing flu shots will lead to the socially efficient level of output. 

(B) Subsidizing flu shots will lead to the socially efficient level of output. 

(C) The firm making the flu shots is charging too low a price to reach the socially efficient level of output. 

(D) The firm making the flu shots is producing where marginal social cost equals marginal social benefit. 

(E) The firm making the flu shots is producing the socially efficient quantity if the market for flu shots is perfectly competitive. 

 

지금 문제가 positive externalities 상황이라고 이야기 해주었습니다. 

flu shots 은 positive externalities of consumption 상태입니다. MPB 위에 MSB 커브가 그려지고,

market Q 는 socai opt Q 보다 낮습니다. 그래서 subsidy를 통해 Q를 높이는 것이 정부의 해결책 입니다.

그런데 현재 market Q가 낮은 것이 (C)에서 말한 것처럼 가격이 낮아서 라고 한다면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습니다. 

가격이 낮다면 market Q가 높아야 하는데, 가격이 낮은것과 Q가 낮은것을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설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E) market Q 는 socai opt Q 보다 낮습니다. (E) 에서 지금 market Q가 social Q라고 한다면 틀린 것입니다.

 

 

#4 part2 교재 p.52 FRQ (a)

D=P 그래프가 horizontal하게 그려지지 않는 이유는, 그 horizontal한 그래프는 one firm의 그래프여서 그런 것이지요?

그런데 지금 상황은 society 혹은 market 전체를 봐야 하므로 D=P가 아래로 내려가는 그래프이고요?

--> 네.

Assume the "market" for fireworks is perfectly competitive. 

Draw a correctly labeled graph of the "market" for fireworks.

문제에서 Market graph 를 그리라고 했기때문에 Downward slope D 커브입니다. 

 

 

#5 part2 교재 p.57 FRQ (a) 그래프

natural monopoly와 그냥 monopoly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왜 이 문제의 monopoly에서는 MC 그래프가 나이키 모양인데, p.56의 natural monopoly 그래프에서는 MC가 horizontal하나요?

 

--> Natural monopoly 는 Economies of scale 이 아주 큰 상황이기 때문에 이미 고정된 facility를 만들어서 최초의 Fixed cost는 높지만, 

이후 물건 하나하나를 만들면서 추가되는 MC 는 낮고 거의 일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natural monopoly 에서는 MC 가 horiziontal, 또는 ATC 아래에서 downward slope 로 그려지기도 합니다.

ATC 가 계속 낮아지는 Economies of scale 상황이기 때문에 ATC 보다 MC 는 항상 아래에 그려집니다.

 

 

#6 part2 교재 p.57 FRQ (a) (i)

이 문제에서, 선생님께서 loss minimize인 점은 profit max인 점이라 하셨습니다. 이때, loss는 cost를 의미하나요?

또, 전에 질문드린 것의 답변 중에, AC minimize인 점은 productive efficiency point이지, profit max가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왜 그런가요?

profit max와 productive efficiency, 그리고 optimal output level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short run에서의 productive efficiency와 optimal output level는 언제인가요?

 

--> Loss 는 Profit 의 반대로 회사가 얻을 손해입니다. 손해가 가장 낮다 = 이익이 가장 높다 같은 말입니다.

AC minimum = 비용이 가장 낮다 = productive efficiency 입니다.

profit maximum = 이익이 가장 높다 = MC = MR 에서 결정됩니다.

비용(cost)과 손해(loss)는 다릅니다. profit max 에 대한 설명을 해주면서 중요하다고 언급해 주었습니다.

-->  Part.2 p.13 에서 5개의 중요한 포인트를 정리해주었습니다.

강의를 꼭 보고 5개의 포인트의 다른 점을 확인해주세요. 모든 Market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추가로, zero profit과 profit maximization은 언제 같아지나요? equilibrium일때인가요?

--> Zero profit 은 P = ATC 일때고, profit max 는 MC = MR 일 때입니다. 만약 이 모든 커브다 다 만난다면 가능할 수 있습니다.  

Perfect competition market 에서는 long run equilibrium 일때 가능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