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dilution이라는 것은 농도가 높은 용액에 물을 첨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농도의 용액을 만들고자 할 때는 그 농도의 용액과 부피를 이용하여 몰수를 먼저 계산합니다. 그 몰수에 해당하는 고농도 용액을 가져온 후에는 물을 첨가해주어야 희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원하는 부피의 용액을 만들기 위해 물(여기에서는 화학적으로 어떤 다른 이온도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물인 distill water)을 첨가하는 것입니다.
2) 반응에서 coefficient는 반응하는 물질, 생성되는 물질들의 갯수의 비(ratio)입니다. 기체의 경우 온도(T)와 압력(P)가 일정할 때 PV=nRT로부터 V는 n(mole number)의 의미이기 때문에 반응의 coefficient는 기체의 갯수의 비와 같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