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Grace Lee] AP MICRO ECON 답변 누락
1 1
Author yoo*** Date Posted 2025-02-10 오전 8:59:07

선생님께,


안녕하세요, 1월 30일에 AP MicroEcon 개념 강의 질문 남긴 학생입니다.

질문을 많이 남겨서, 선생님께서 답변을 나눠서 해주시기로 했습니다.

반은 이미 해주셨고, 나머지 반은 지난 주말까지 해주시기로 하셨는데, 아직 답이 달리지 않아 새로 글을 씁니다.


1월 30일에 "AP MICROECON 질문"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썼었습니다.

한 번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2-11 오후 6:29:23

네 안녕하세요!

 

#5-3 Pt1 교재 p.85 9번

선생님께서 D 보기는 "The firm hires a new plant manager, and output increases"여야 맞는 답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1) hiring a new plant manager은 cost가 줄어드는 상황이 아니지 않나요?

만약 선생님의 설명대로 EOS를 "input 대비 output이 더 큰 것"이라고 보면 hiring a new plant manager 해서 output 증가가 EOS이겠지만,

EOS의 정의?인 "output을 늘릴수록 cost가 줄어든다"로 보면 이는 EOS 상황이 아니지 않나요?

 

 

--> Economies of scale 은 회사가 규모를 늘릴수록 (생산량을 늘릴수록) 물건 하나당 쓰게되는 평균 비용이 낮아지는 비용적인 이득을 얻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plant manager를 더 뽑아서 전체 cost 는 늘어났을지라도 전체적인 생산량이 늘어난 정도가 cost의 평균을 낮추어 비용적인 이득을 얻는 상황이라면 EOS는 될 수 있습니다만, 문제에서 그런 구체적인 수치를 언급해주지 않았고, input - output 의 관계를 알 수 없는 상황이라 답이 될 수 없습니다. 

 

2) output increases도 부정확하지 않나요?

선생님께서 input "대비" output이 큰 것이라고 설명하셨으므로,

"output increases"는 틀리고, 대신 "output increases more than the cost of hiring a new plant manager"이라는 단서가 있어야 하지 않나요?

그냥 output increases면 input "대비"가 아니므로 쓴 input보다 output이 적을 수 있으니까요. 이런 상황도 EOS인가요?

--> 넣은 input 보다 비율적으로 output이 나오는것이 더 커야함을 의미합니다. 

output의 증가에 대해 "단위당 평균 비용"이 낮아져야 합니다. 그래서 생산량을 늘릴수록 per unit cost 가 낮아지는 상황을 EOS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애초에 이렇게 input 대비 output으로 EOS를 생각하는 게 맞나요..? 즉 #5-2 질문에서처럼, input 대비 output이 큰 상황이 output을 늘릴수록 cost가 줄어드는 상황과 정확히 일치하나요?

--> "input 대비 output이 큰 상황" 은 

문제의 답 The firm doubles its inputs, and output triples. 처럼 넣은 input 보다 비율적으로 output이 나오는것이 더 커야함을 의미합니다. 

생산을 확대할때 단위당 (평균) 생산비용이 줄어드는것이라고 생각하면 정확합니다. 

넣은 input을 2배로 증가시켰으나, 나온 output이 세배로 증가된다면 = 더 낮은 단위당 (평균)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6 Ch.4-1 (Pt2 교재 p.6)

LRATC에서 EOS인 부분과 D가 만나는 지점이 P=ATC, 즉 zero profit인 지점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럼 이때까지만 production을 하니요? 아니면, 이 지점을 넘어서면 loss가 시작되지만, 어쨌든 EOS 상황이니 계속 production을 하나요?

--> 일반적인 회사들은 당연히 profit maximization point 에서 생산을 하지만  p.6에서 설명한 natural monopoly의 그래프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회사들의 생산포인트와 다른 곳에서 생산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문제들도 natural monopoly의 경우에는 government policy에 따라서 생산포인트가 달라지는 조건들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EOS 의 장점을 최대화하기 위해 LRATC가 최저가 되는 곳까지 생산을 하지만, loss 가 시작되기 까지만 production을 하기위해 P=ATC 가지만 생산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정부의 정책와 회사의 상황에 따라 다를수 있습니다.

 

#7 Ch.4-3 (Pt2 교재 p.12) MC 그래프의 shift

이전에 D, S 곡선의 움직임은 D가 increase하면 D가 right shift 하는 거였습니다. (S도 마찬가지)

그런데, MC는 increase하면 up shift인 이유는 y축이 Price이기 때문인가요?

 

즉, D, S의 increase는 곧 quantity의 increase니까 x축 기준 right/left shift이고,

MC의 increase는 price의 increase니까 y축 기준 up/down shift인 것인가요?

--> 네 맞습니다! 

그래서 MC 가 올라간다 = Supply 기준으로는 내려가는 것으로 (줄어드는 = left shift) 이야기 하기 때문에 

헷갈리는 학생들이 많아서 주의하라고 이야기 해주었답니다!


이 아래 질문들은 오늘밤 (또는 내일중) 다시 아래 붙여넣어 답 남겨주겠습니다.

:) 문제를 보고, 확인하고, 다시 답을 적는데 시간이 오래걸려 한번에 모든 답을 못해주어 미안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