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COMMUNITY
Title [Roy Lee] Reduced Hybrid Viability vs Fertility
Roy 선생님의 Core AP Biology 개념정리 14
Author gra*** Date Posted 2025-02-03 오전 1:07:01

2번 문제에 답이 

e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reduced hybrid fertility 같은 경우 앞부분에

정의가 Hybrids are sterile and cannot produce offspring이라고 되어있는데

2번 문제에 보면 hatch를 하긴 하는데 그 수가 적어진 거지 produce offspring자체는 하는거니까 e라고 볼 수 없는거아닌가요?


2025-02-05 오후 8:51:08
안녕하세요!

 

아이고!

방금 확인해보니 해당 강의 편집이 안된 영상이 올라와 있었네요 ^^;

수강하는데 불편하게 해드려 죄송해요.

 

생물학의 경우 wet science라고 부르고,

화학이나 물리처럼 hard science라고 부르지 않는 이유가

모든게 100% 정확하고, 딱딱 들어맞지 않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우리가 reduced hybrid viability / fertility 표현의 정의를 볼때도

"무조건, 항상, 100%, 흑백" 라고 생각하지 않고,

"대체로 그런 추세를 보인다" 라고 조금 유연하게 생각을 해야해요.

 

2번 문제의 D 보기의 reduced hybrid viability의 정의는

2 different species parents produce offspring that cannot survive 인데

(물론 일부 offspring은 조금 생존할 수 있다고 유연하게 생각하면서)

문제에서 나온 "hybrids have normal life spans" 라는 문장 때문에 

viability에 "대체로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결국 D를 답에서 제외할 수 있어요.

 

그에 반해 E의 경우 reduced hybrid fertility는 

아예 아무런 offspring을 절대로, 네버, 발생시키면 안된다고 단정하는게 아니라

offspring이 나올 수 있지만, 무언가 "문제가 생기는 경향이 있다" 라고 생각하는게 맞고,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eggs of these hybrids hatch "less often" 이라는 조건과 부합하죠.

 

도움이 됐나요?

 

해당 영상은 곧바로 수정해서 업로드될거에요!

다시 한번 수강에 불편을 드려 죄송하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