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ㅠㅠ
Effective gravitational field를 써야하는 이유는 net force에 의해 period가 결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Apparent weightlessness 현상은 본인의 무게를 느끼지 못하는 현상입니다.
자이로드롭 타보셨나요?! 타보셨다면 공감을 하실텐데 위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는 순간에 붕~ 뜨는 느낌이 들고 본인 무게를 못 느끼는 "apparent weightlessness" 현상이 발생합니다.
본인의 무게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지, gravitational force가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이 순간에는 effective gravitational field = 0이 됩니다.
이건 극단적이 예시이고, 엘리베이터가 가속을 할 때에도 effective gravitational field는 9.8m/s^2이 아닌 다른 값이 된다는 점은 이해를 하셨죠?
엘리베이터라는 reference frame 안에서는 외부가 보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effective gravitational field = 5m/s^2로 계산이 된다면, 이 엘리베이터 안에서는 외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g=5m/s^2인 다른 행성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
그럼 안에 있는 pendulum의 관점에서도 마찬가지로 gravitational field가 5m/s^2인 행성에 있을 때 똑같은 motion을 하게 됩니다.
다음 FRQ 문제는요!!
"Quick downward push"를 줘서 한 번 가속시킨 이후에는 applied force는 제거가 된 상태입니다!!
Motion을 주기 위해 살짝 건드렸다는 뜻이지, 지속적으로 applied force가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At rest일 때에는 net force가 0이어야해서 T1=mg이지만,
Accelerate하고 있을 때에는 downward net force가 존재애햐새서 T2<mg가 됩니다.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클로이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