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켈다샘입니다 :)
사실 enthalpy change 를 나누는 몰 수의 기준은
moles of reaction
즉 리액션이 일어난 정도의 moles 에요
즉 HCl + NaOH -> H2O + NaCl 이라는 식이 있을 때 이 리액션의 뜻이 뭘까요
곧 coefficient 그대로
1 mol of HCl이 1 mol of NaOH 와 만나서, 1 mol of water and NaCl 을 만들었을 때,
그것을 1 mol of reaction 이 일어났다고. 표현을 합니다
만약 예를 들어
N2 + 3H2 -> 2NH3 라는 리액션이 있다면
1 mol of N2와 3 mol of H2 가 만나서 2 mol of NH3를 만들었을 때 그것을 바로 1 mol of reaction 이라고 부르는 식이에요
그래서 coefficient 가 1 이 아닌 경우라면
이렇게 비례 관계를 고려해주어야 합니다
2mol of N2와 6 mol of H2 가 만나서 4mol of NH3를 만들었을 때에는 바로 2 mol of reaction 이 되고요
두번째 질문에서는
리액션 자체가 sucrose 가 burn 하는 리액션이었고
heat of combustion 이라서
heat amount released divided by moles of sucrose 를 해서
sucrose 가 1몰이 탈 때 기준으로 enthalpy change 를 찾은 것입니다
heat of combustion 은 타는 케미컬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정해요
그 케미컬이 탈때, 그 케미컬이 1 몰이 탈 때, 얼만큼 heat 을 릴리즈하냐로 보는 것이죠 ^^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