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질문
까만색처럼 해도 결국 같은 의미라서 깎이지는 않으나
한국에서는 저렇게 풀어도 당연하게 여겨지는 반면
미국에서는 - 아 이 친구가 머릿속으로 안다고 가정하고 과정들을 스킵하고 있구나 하고 여겨집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빨간색을 추천합니다
2번
아주 중요하진 않고
결국 포뮬러를 찾는 문제라 크게 상관없을 수 있으나
너무 라운딩을 많이 하면, 마지막 답이 좀 다르게 나올 때가 있고 본인이 헷갈릴 수 있어서
sig fig 을 정확하게 맞추지는 않더라도
대략적으로 - 너무 심하게 라운딩 하지 않으면서 - 푸는 것을 추천합니다
3번
2 mol/1mol 의 경우에는 1 sig fig 이 아니라 각각의 sig fig 은 무한대(?) 입니다
measured quantity 의 경우에 어디에서 라운딩 했는지에 따라 sig fig 이 정해집니다
실험적인 한계 - experimental error 에 대한 인식이죠
그러나 exact number 에 대해서는 sig fig 을 따로 카운트하지 않는데
없어서가 아니라 말 그대로 rounded 가 아니라 exact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rounded 되어있는
sig fig 이 겨우 하나인 2 mol 인 것이 아니라
아주 정확한 ratio 로서 1mol 의 Ba(NO3)2 마다 2mol 의 NO3- 가 있다는 뜻이 됩니다
무튼 제가 이 문제를 지금 full 로 확인하고 있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주어진대로라면 답의 sig fig 도 세개 (0.600 mol) 을 따라야 합니다
그런데 결국 0.60 으로 sig fig 이 두개가 되었기 때문에
sig fig 만 보면 틀린(?) 것이죠
그러나 ㅎ 칼리지보드에서도 아주 중요한 / 또는 sig fig을 물어보기 위한 크리티컬한 문제들 외에는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고
또 +-1 sig fig 에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acceptable 하기 때문에
칼리지보드도 답지를 별생각을 (?) 안하고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ㅎ
저렇게 위에 쓴게 전부 다라면요 ㅎㅎ
무튼 clarify 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