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
Price index (물가지수) 가 고정된 해의 가격 (base year price) 과 비교하고싶은 해의 가격 (current year price) 사이의 비율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두 해의 price 의 비율을 찾는것이 기본적인 공식입니다...
하지만 CPI는 Market basket 안에 있는 아이템들의 가격변화를 가지고 찾는 Price index입니다.
CPI in current year = (Total Spending in current year / Total Spending in base year) * 100
여기서 total spending 을 찾을때 각 아이템들마다 얼마나 소비자들이 샀는지를 파악합니다.
예를들어 연필 10개를 $5에 샀다, 또는 햄버거 20개를 $6에 샀다... 이렇게 개수를 측정하여 total spending을 찾는 이유는
사람들이 그 물건을 산 양을 고정하여 얼마나 소비자에게 그 물건이 중요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물건의 양을 가지고 소비자의 패턴을 알수있는것이지요 !
햄버거가 차지하는 개수가 많았다는것은 소비자들에게 음식 - 여기서는 햄버거가 지출에 많을 비중을 차지하는구나, 즉 소비자에게 음식에 대한 지출부분이 크구나 라는걸 반영할 수 있도록 개수를 곱하여 전체 spending 을 찾는 것이 CPI 가 물건의 개수에 가격을 곱하여 찾는 이유랍니다.
(즉 소비자들의 지출중 어떤 물건이 얼마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지로 물건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문제가 물건의 개수를 변화된 두 해에 고정하여 주기때문에 결국 PxQ로 total spending을 찾을때는 Q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price level의 변화만 찾는 것이랍니다.
CPI는 Output은 상관없고 (Price in current year / Price in base year) *100
이 공식을 적용하면 된다
--> 문제가 물건의 개수에 대한 언급없이 price level의 변화만을 가지고 문제를 풀어도 되는 상황을 준다면 상관없지만...
그동안의 AP 시험에서는 항상 물건의 개수를 가지고 total spending 을 찾아 CPI 를 찾도록 출제되었습니다.
아래는 Mankiw 교과서에서의 CPI 공식입니다.
= Price of basket of goods and services in current year / Price of basket in base year x 100
Mankiw의 principle of economics 를 포함하여 주요 경제학 교과서들은 모두 CPI 를 구할때
market basket 안의 물건의 QxP 의 summation = total spending, 즉 price of basket 을 찾도록 설명합니다.
그리고 예시문제들도 모두 market basket 안에 있는 물건들의 Q를 가지고 total spending을 찾습니다.
고정된 물건의 개수로 변화되는 가격을 찾기때문에 그런 의미로
"CPI는 Output은 상관없고" 라는 말씀을 하신게 아닌가 싶지만...
AP 시험에서 CPI를 구할때는 항상 문제가 준 market basket 안의 Quantity 를 곱하여 전체 total spending을 찾아주어야 합니다 :)
잘 이해가 되었길 바랍니다!
그럼 열공하세요 !